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근로·자녀장려금 총정리! 신청 방법부터 지급액, 자주 묻는 질문

by 피지아가 2025. 3. 16.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근로자녀장려금에 대해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자세히 알아보고, 신청 방법부터 자격 요건, 꿀팁까지 모두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글을 읽고 나면 "내가 받을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한 방에 해결할 수 있을 거예요

근로자녀장려금이란?

근로자녀장려금은 저소득 가구의 근로자를 지원하고 자녀 양육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가 제공하는 현금 지원 제도입니다. 흔히 근로장려금(EITC)자녀장려금(CTC)으로 나뉘는데, 근로장려금은 소득이 적은 근로자를 위한 지원이고, 자녀장려금은 자녀가 있는 가구에 추가로 지급되는 혜택이에요. 이 두 가지를 합쳐서 근로자녀장려금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죠. 2025년 기준으로 이 제도는 소득과 재산 요건을 충족하는 가구에 최대 330만 원까지 지원되며, 자녀 수와 가구 유형에 따라 금액이 달라집니다.

 

근로장려금 (EITC)  근로·사업소득이 적은 가구 대상
자녀장려금 (CTC)  부양 자녀가 있는 가구에 추가 지급

 

💡 2025년 최대 지급액:  330만 원 + 자녀 1명당 85만 원 추가

 

2025년 자격 요건: 내가 받을 수 있을까?

근로자녀장려금을 받으려면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아래에서 하나씩 확인해볼게요.

가구 유형 소득 요건

단독 가구: 배우자·부양자녀 없음
홑벌이 가구: 배우자 소득 70만 원 이하 or 자녀 1명 이상
맞벌이 가구: 부부 모두 소득 있음

소득 요건

근로·자녀장려금을 받으려면 가구 유형별 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소득 기준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 등을 모두 합친 총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  예를 들어, 부부가 맞벌이하고 있다면, 두 사람의 소득을 합쳐서 3,600만 원을 넘지 않아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 홑벌이 가구는 배우자가 있어도 배우자의 연 소득이 70만 원 이하라면 홑벌이 기준을 적용받습니다.

 

✔ 단독 가구: 연 소득 2,000만 원 미만
홑벌이 가구: 연 소득 3,000만 원 미만
맞벌이 가구: 연 소득 3,600만 원 미만

재산 기준

2억 4천만 원 미만 (주택, 토지, 예금 포함)
1억 7천만 원 이상이면 50% 감액 지급 주의하세요

자녀 기준 (자녀장려금 대상자만 해당)

2007년 3월 17일 이후 출생 (만 18세 미만)
자녀 소득 100만 원 이하

2025년 지급액: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지급액은 가구 유형과 소득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가구 유형 최대 지급액 (근로장려금) 자녀 1명당 추가 (자녀장려금)
단독 가구 165만 원 -
홑벌이 가구 285만 원 85만 원
맞벌이 가구 330만 원 85만 원

 

💡 예시: 홑벌이 가구 + 자녀 2명 👉 최대 285만 원 + 170만 원 = 455만 원까지 받을 수 있다는 뜻이에요.

하지만 소득이 기준에 가까울수록 금액이 점차 줄어듭니다.

 

신청 방법

근로·자녀장려금은 두 가지 방식으로 신청 가능

정기 신청 (한 번에 지급)

신청 기간: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지급 시기: 2025년 9월경

반기 신청 (소득 분할 지급)

상반기: 2025년 9월 1일 ~ 9월 15일
하반기: 2026년 3월 1일 ~ 3월 15일
지급 시기: 신청 후 약 3개월 내

신청 방법 (초간단!)

온라인: 국세청 홈택스 👉 www.hometax.go.kr
모바일: 손택스 앱 다운로드 후 신청
전화: 국세청 ARS(☎ 1544-9944)

꿀팁

1️⃣ 서류 준비 미리!
✔ 원천징수영수증, 소득 증빙자료 미리 준비하면 심사 빠름

2️⃣ 가족관계 확인!
✔ 자녀장려금 받으려면 주민등록등본에 자녀 포함돼 있어야 함

3️⃣ 재산 기준 체크!
공시지가 기준으로 평가되니, 실제 시세랑 다를 수 있음

4️⃣ 기한 놓쳐도 추가 신청 가능!
6월 1일 ~ 11월 30일 기한 후 신청 가능 (단, 10% 감액됨)

 

자주 묻는 질문 (FAQ)

  • Q: 맞벌이인데 소득이 높으면 못 받나요?
    A: 총소득이 3,600만 원을 넘으면 안 되지만, 초과분이 적다면 일부 감액된 금액을 받을 수 있어요.

 

  • Q: 재산이 2억 원인데 집값이 올랐어요. 괜찮을까요?
    A: 2025년 6월 1일 기준 재산을 평가하니, 그때 확인해보세요.

 

  • Q: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은 꼭 같이 신청해야 하나요?
    A: 아니요, 두 제도는 별개입니다. 근로장려금은 소득과 재산 요건을 충족하면 자녀 여부와 상관없이 신청 가능하고, 자녀장려금은 부양 자녀가 있는 경우 추가로 신청할 수 있어요. 자격이 되면 둘 다 받을 수 있습니다

 

  • Q: 반기 신청과 정기 신청, 뭐가 더 유리한가요?
    A: 반기 신청은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눠서 빨리 받을 수 있어 현금 흐름이 급한 분들께 유리하고, 정기 신청은 한 번에 전액을 받으니 기다릴 수 있다면 편리해요. 본인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세요.

 

  • Q: 소득이 없어도 신청할 수 있나요?
    A: 아니요, 근로장려금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종교인소득 등이 있어야 신청 가능합니다. 소득이 전혀 없으면 자격이 안 돼요.

 

  • Q: 재산이 애매한데, 어떻게 확인하나요?
    A: 재산은 공시지가나 시가로 계산되는데, 정확한 금액은 부동산 공시지가 조회 사이트(www.realtyprice.kr)나 은행 예금 조회로 확인할 수 있어요. 홈택스에서 신청 전 자가 진단도 가능합니다.

 

  • Q: 신청했는데 지급이 안 됐어요. 왜일까요?
    A: 자격 요건 미충족, 서류 누락, 또는 신청 기한을 놓쳤을 가능성이 있어요. 홈택스에서 신청 상태를 확인하거나 국세청(1544-9944)에 문의해보세요.

 

2025 근로·자녀장려금, 꼭 챙기세요

단독·홑벌이·맞벌이 가구 모두 신청 가능
5월 정기 신청이 가장 유리! (10% 감액 방지)
홈택스·손택스·ARS로 간편하게 신청 가능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국세청 상담센터 (☎ 1566-3636)로 문의하세요

 

 

2025.03.11 - [분류 전체보기] -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2025년 기준)